2023년 6월 8일 (목요일)

밴쿠버 시내 상점 대상 침입 절도 기승

밴쿠버 시경(VPD)은 14일 밴쿠버 시내 상점을 대상으로 한 침입 절도가 증가했으며, 이와 관련해 지난 몇 주간 40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타냐 비신틴 VPD 대변인은 “시내 전체적인 재산 범죄는 감소했지만, 상업 건물을 대상으로 한 침입과 절도는 신체적 거리 두기가 시작된 이후 증가하고 있다”라며 “관련 순찰과 수사를 강화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밴쿠버 시경은 휴업 중인 상점은 진열장이나 창가에 들여다볼 수 있는 상품을 치우고 셔터를 내리고 자물쇠를 강화하라고 권고 했다.

또한 조명 밝기를 높여 상점 주변이 잘 보이게 하고, 종종 상가를 점검해 침입 시도 흔적이 발견되면 경찰에 즉각 신고하라고 안내했다.

아론 로드 VPD 경사에 따르면 주로 그렌빌과 랍슨에 집중적으로 사건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다운타운 외에는 키칠라노 지역 상점도 절도 대상이 되고 있다.

침입은 ‘break and enter’로 불리며, 약자로는 B&E로 표시한다. 형사법상 주거, 상점, 사무소에 문이나 창문을 열고 들어가면 이 조항이 적용된다.

보험 조건에 따라 경찰 신고 후 보상 받을 수 있다. 경찰은 체포된 40명에 대해 침입 절도죄 외에도 장물 소지죄, 절도죄로 검찰에 기소 신청했다. 경찰도 인정한 문제는 도둑 중 일부는 체포 후 다시 풀려나 재범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 JoyVancouver | 권민수

- 기사 하단 광고(Abottom) -

5 댓글

  1. 안녕하세요. 3월 15일에 레이오프되고 ei를 신청해서 현재 cerb로 자동전환된 경우입니다.
    여러자료를 보아도 명확한 답변을 구하기 어려워 도움을 청합니다. 간절한 마음으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1. Cerb 3회차(5워 중순)부터 복귀를 할 예정인데 이때 한달 수입이 1000불 미만이면 cerb를 계속 받을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Ei에서 넘어 간 경우도 리포트만 잘 하면 될까요?
    또한 2주간은 무급, 나머지 2주동안 1000불미만 수입이여야하나요? 아니면 연속으로 받는 3차 이므로 한달중에 1000불 미만이면 되나요?
    2. cerb가 끝나면 다시 ei로 전환된다고 알고있습니다.
    파트타임으로 일을해도 ei는 일부 차감되고 계속 받을 수 있다고 들었는데…
    이 파트타임의 명확한 기준 시간은 어떻게 되나요?
    3. 그리고 만약 한 주에 30시간을 일을 한 경우…
    풀타임이므로 리포트를 한 해당 주에만 ei를 받을 수 없는건가요?
    아니면 풀타임을 일한 그 주를 기준으로 아예 ei자격을 상실하게 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30시간 일한 주는 ei를 못받지만,
    ei자격은 계속 유지되어 ei 수령 기간동안 일을 못 한 주는 다시 ei를 받을수 있는지..
    즉, 30시간 일하는 주가 발생해도 전체 ei수령 기간에 영향이 없는지 궁급합니다. )
    4. cews와 cerb 둘 중 하나만 선택해야한다고 알고있습니다. 만약 cews를 통해 급여를 받을경우 1000미만의 급여를 받는 경우라도 cerb를 포기해야하나요?
    두서없이 많은 질문을 드려 죄송합니다.
    그렇지만 작은 도움이라도 감사하게 생각하겠습니다.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시간내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1. 이해를 쉽게하려고, EI신청자가 CERB로 자동전환된다고 표현하지만, 실제 시스템에서는 EI 대상자지만 CERB를 받는 거로 처리됩니다.
      즉 2주 리포트를 계속하면 시스템이 판정해줍니다. 1회차는 4주 중에 2주간 1000, 그 다음부터는 4주 중에 1000을 허용합니다.
      2. 파트타임/풀타임 크게 상관있는 건 아닙니다. EI 주당 지급액이 573이하라면 다음 공식이 적용됩니다.
      (이전 직장 주급 x 55%) – (현재 직장 주급 x 50%) = EI 수당이 됩니다. 음수가 나오면 EI 종료.
      3. 36주 지급 대상이 됐다고 하면, 중간에 소득 발생으로 지급 중단된 주는 지급 대상 주에서 빼지 않습니다. EI가 지급된 주만 차감됩니다. 다만 EI는 처음 자격발생(해고일) 기준 1년 안에만 지급됩니다.
      4. 이건 경우의 수가 너무 많아서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2. 안녕하세요. 작년 소득 5000 이상이고 쭉 파트타임으로 근무했습니다. 직장인 스타벅스에서 5월초까지는 일을 안해도 월급을 지급해줘서 그 이후에 cerb를 신청하려 했는데, 다음주부터 다시 일을 하게 됩니다. 파트타임으로 돌아갈거지만 근무 시간은 기존과 같거나 약간 늘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한달 수입이 1000불 이하면 cerb를 신청할 수 있나요?

  3. 안녕하세요 자료를 찾다가 이 페이지에 들리게되서 죄송하지만 질문하나만 남깁니다. 모든 조건은 충족이 되는데 신넘버 유효기간이 6월 30일에 끝났고 5월말에 이미 워킹 비자를 신청해놓은 상태입니다. 원래 일하던 직장에서는 일을 3일밖에 안주셔서 지금 월 1000불도 못벌고 집세만 내고 있구요. 신넘버가 연장이 안되서 CERB 신청하면 안된다고 들었는데 이게 맞는거죠? 나중에 영주권에 타격이 갈까봐 신청을 안하고 있습니다. 죄송하지만 답변 기다려봅니다.

    • 유효한 SIN이 있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일단 SIN이 나오면, 또한 다른 모든 자격 조건이 유효하다면, 12월 이전까지는 지난 기간의 CERB를 신청하실 수도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여기에 이름 입력

조이밴쿠버 검색

- 사이드바 광고 -
- 사이드바 광고2(CA2)-